Activity주요활동
- 강병인소식
- 주요활동
-
74
2023-05-30 14457
-
73
2023-03-14 14755
-
72
[개인전] 멋글씨예술가 강병인 초대전 <한글 꽃이 피었습니다>_주스페인 한국문화원, 마드리드
2022-09-22 15529
-
71
2021-11-20 15397
-
70
[개인전] 멋글씨예술가 강병인 개인전 <모스크바, 한글 꽃이 피었습니다>
2021-10-18 15355
-
69
[출간] 독립운동가의 시와 말씀을 글씨로 보다 <나의 독립>
2021-05-26 16967
-
68
[이벤트] <나의 독립> 출간기념 교보문고 단독 이벤트
2021-05-06 16703
-
67
[행사] 스타필드_새해 희망 메시지, 강병인의 손글씨로 전달합니다.
2021-01-04 17184
-
66
2020-11-12 15304
-
65
[출간] 문정희 시를 강병인 쓰다 <눈송이처럼 너에게 가고 싶다>
2020-11-12 15239
[출간] 문정희 시를 강병인 쓰다 <눈송이처럼 너에게 가고 싶다>
[출판사 서평]
강병인은 서예와 디자인을 접목한 캘리그래피를 대중화시키는 데 선구적 역할을 해온 작가이다. 한글의 창제원리를 작품 철학으로 삼아 한글 글꼴의 다양성과 아름다움을 알려왔으며, 집요하게 소리 문자의 영역을 넘어 뜻 문자로서의 가치를 글씨에 담아내고 있다. 이 지점에서 그의 글씨가 단순한 흘림글씨나 과도한 디자인과 상업성에 천착하는 캘리그래피와 궤를 달리한다고 할 수 있다.
마침내 시가 말을 걸다
'강병인 쓰다' 첫 권은
문정희 선생님의 시로 시작했습니다.
차마 말하기 어렵지만
시를 글씨로 옮기는 것쯤 눈만 뜨면 붓을 드는 나에게는
너무도 쉬운 일이었습니다.
허나,
첫 시부터, 여지없이 깨지고 무너지고 자빠지길 수십 번,
결국 일 년여의 시간을 고통 속에서 헤매었습니다.
글씨, 손글씨가 가지는 궁극의 힘은
보이지 않는 글의 뜻이나 소리, 감정을 보이게 하거나
들리게 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어떤 글씨는 감정이 넘쳐서 부족하고
어떤 글씨는 모자라서 부족했습니다.
문정희 선생님의 시는 힘이 있고 단단했습니다.
한 번의 붓질로는 어림없었습니다.
읽고 쓰는 무수한 붓놀림과 숙고의 시간을 거쳐야만
시어들의 심오한 결이 드러나고 비로소 말을 걸 수 있었습니다.
여기서 '응~'하면 저기서 '응~'하고
누워있던 글자가 일어나 춤추며 노래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리움 모두 살아 물레처럼 돌고"
"혼자 흘러와 혼자 무너지는 종소리처럼"
하나의 시 안에 몇 편의 시가 들어있는지 모를 일이었습니다.
어느 한 대목을 뚝 떼어놓으면 그것이 또 하나의 시가 되었습니다.
"사랑한다는 것은 조용히 물이 드는 것"
"온 세상에 눈부신 소문이 가뭇없이 퍼진다 한들"
문정희 선생님의 시 〈가을 노트〉와 〈풀잎〉 중 한 구절이지만
읽고 쓰는 내내 가슴을 요동치게 하고 설레게 했습니다.
한 줄의 시구에서 열 편의 시를 읽었다고 해도 과장이 아닙니다.
그 속에서 유영했던 시간은 고통이기도 했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오롯이 스며오는 시편들에서 위로받으며
결국, 큰 기쁨이었음을 감사하게 생각합니다.
귀한 시를 옮길 수 있도록 허락해주신
문정희 선생님께 감사드립니다.
세종 나신 인왕산 아래에서
영묵 강병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