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tivity주요활동
- 강병인소식
- 주요활동
-
74
2023-05-30 14457
-
73
2023-03-14 14755
-
72
[개인전] 멋글씨예술가 강병인 초대전 <한글 꽃이 피었습니다>_주스페인 한국문화원, 마드리드
2022-09-22 15529
-
71
2021-11-20 15397
-
70
[개인전] 멋글씨예술가 강병인 개인전 <모스크바, 한글 꽃이 피었습니다>
2021-10-18 15355
-
69
[출간] 독립운동가의 시와 말씀을 글씨로 보다 <나의 독립>
2021-05-26 16967
-
68
[이벤트] <나의 독립> 출간기념 교보문고 단독 이벤트
2021-05-06 16703
-
67
[행사] 스타필드_새해 희망 메시지, 강병인의 손글씨로 전달합니다.
2021-01-04 17184
-
66
2020-11-12 15304
-
65
[출간] 문정희 시를 강병인 쓰다 <눈송이처럼 너에게 가고 싶다>
2020-11-12 15240
[개인전] 멋글씨예술가 강병인 개인전 <모스크바, 한글 꽃이 피었습니다>
때_2021년 10월 18일~22022년 1월 18일
곳_주러시아 한국문화원 기획전시실
_주러시아 한국문화원, '한-러 상호문화교류의 해' 및 '한글날' 기념사업으로 한글 서예전 개최
_한글의 고움과 다양성, 독특한 조형성, 아름다움 전달
_강변인 작가 러시아 방문, 현지인 대상 한글 서예 특강 예정
주러시아 한국문화원(원장 위명재)은
'2020-2021 한-러 상호문화교류의 해'와 제575돌 한글날을 기념하여
대표적인 한글 멋글씨 작가 강병인 개인전을 10.18(월)부터 문화원에서 개최한다.
이번 전시회는 우리글의 고움과 다양성, 독특한 조형성과 아름다움을 러시아에 선보여
현지 한국어에 대한 관심을 더욱 높이기 위해 기획되었다.
강병인 작가는 1990년 말 이후 전통서예에 디자인을 접목하여 한글 멋글씨(Calligraphy) 분야를 개척하였다.
멋글씨를 현 대한글서예 분야로 발전시켜 '한글 디자인, 한글 예술의 가치'를 알려오고 있다.
이번 전시회에서 작가의 작품세계를 한 눈에 살펴볼 수 있는 작품 48점을 러시아인들에게 선보인다.
"땅에서 새싹이 돋아 자라며 가지가 되고 그 가지 위에는 활짝피는 꽃을 표현한 ‘봄’,
한글서예는 예쁘거나 반듯반듯해야 한다는 고정관념을 깨고 거친 획들을 통해 힘찬 기운을 표현한 ‘힘센 꽃’,
금방이라도 달려나와 나쁜짓 하는 사람들을 물려고 하는 ‘개’, 또오오옹 하고 떨어지는 ‘똥’,
들어오고 내려가고 올라가고 나아가는 ‘얼쑤좋다’에 이르기까지 한글에 들어있는 뜻, 소리를 형상화하는 것을 넘어
한글 제자원리가 주는 독특한 조형성을 살린 작품들을 선보이고 있다.“
한국 문화와 한국어에 대한 관심이 전 세계적으로 커지고 있는 가운데 러시아에서도
한국어에 대한 관심도 해마다 더욱 확대하고 있다.2020년 9월 러시아 초•중등학교 제2외국어 정식 교과목으로
한국어가 채택되었고, 72개교에서 약 8천 여명이 한국어를 배우고, 러시아 각지의 세종학당 11개소에서
약 4,000 여명이 한국어를 배우고 있다.
주러시아 한국문화원 세종학당은 전세계 234개 세종학당 중에서도 수강생 수가 가장 많은 세종학당에 속한다.
주러시아 한국문화원은 러시아내 한국어에 대한 관심을 반영하여 2021년 초부터 한글 서예 사업을 지속 추진하고 있다.
한글서예 배우기 동영상 강좌(총 12편)를 제작하여 홍보(1월~2월)하였으며, 한글 서예(캘리그라피) 비대면 전시회(2월~3월),
한글서예 공모전(3월) 사업을 개최하여 관련 동영상 조회수 2만5천회, 전시회 조회수 약 9만회,
공모전 참가자 251명, 495점 작품 출품 등을 기록하였다.
한글서예 기획 행사에 참가한 현지인들은
"너무 아름다워요! 제가 느끼는 한글의 아름다움은 말로 표현할 수가 없네요"
"시간 가는 줄 모르고 캘리그라피 작품들을 관람했습니다.
물이 흐르는 모습과 불이 타오르는 것처럼 계속 볼 수 있는 작품이라고 느낍니다" 등의 반응을 보였다.
이번 전시회는 2022년 1월 18일까지 진행되며, 강병인 작가가 러시아를 방문하여 11월 중 러시아인들을
대상으로 직접 한글 서예 특강 및 마스터클래스를 개최할 예정이다.
*출처_주러시아 한국문화원 전시소개 자료
전시회 이모저모
전시 도록